본문 바로가기

fomc4

2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3.5% 유지 + 1월 FOMC 회의록 공개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드디어 오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국은행의 이와 같은 결정은 경기침체를 우려한 결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결정에 이 총재는 "이날 동결 결정이 금리인상 기조가 끝났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못 박았습니다. 기자간담회에서 "목표 수준을 웃도는 물가 오름세가 연중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정책 여건 불확실성도 높다.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와 불확실성 요인들의 전개 상황을 점검하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라고 발표했습니다. 우선 지난 1년 5개월간 금리 인상의 추세선이 이번 동결로 멈춘 것이 아니냐는 말이 많습니다. 하지만 미국과 기준금리가 더욱 벌어진 이상 다음 금통위가 기대됩니.. 2023. 2. 23.
2월 FOMC 결과 기준금리 0.25% 인상 + 메타, 주가 19% 폭등 1.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4.5%~4.75%로 0.25% 인상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데이터를 근거로 판단하겠다는 제롬 파월의 말에 신뢰가 생겼습니다. 지난해 4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했던 연준이 속도조절에 들어간 것이 아니냐는 시장이 반응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롬 파월은 '목표 물가상승률 2% 달성하려면 긴축 정책을 유지'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로서 한미 금리차는 1.25% 포인트로 0.25% 벌어졌습니다. 한국은행은 향후 금리인상을 단행할지 주목됩니다. 오늘 새벽에 금리인상폭을 제한하면서 시장에서는 미 연준이 사실상 '피봇'(통화정책 방향 전환)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해석을 했습니다. 이에 주식시장은 폭등을 했죠. 아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 중이기 때문에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2023. 2. 2.
해외주식 양도차익 100만원초과시 연말 정산 인적공제 불가 + 미국 PCE 상승률 5.0% 15개월만에 최소폭 상승 연말정산 인적공제 시 해외주식 양도차익 연말정산 부양가족 조건에서 인적공제 적용이 가능하려면 소득 조건이 있습니다. 이때 우리가 간과하는 부분이 국내 상품에는 적용되지 않지만 해외 주식에는 양도차익 소득이 100만 원 초과 시 인적공제에 포함시킬 수가 없습니다. 연말 정산에서 인적공제가 가능한 소득 조건을 깔끔하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 근로소득만 500만 원 : 가능 근로소득 500만 원 + 해외주식 양도차익 10만 원만 있어도 : 불가능 < 해외주식양도차익 100만 원: 가능 해외주식 양도차익이 100만 원에서 1원만 넘어가도: 불가능 국내주식 양도차익 1억 원: 가능 < 국내에 상장된 해외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로 2000만 원 수익: 가능 국내에 상장된 해외주식형 ETF로 2000만 원에서 .. 2023. 1. 30.
12월 15일 FOMC 0.5% 인상으로 기준금리 4.5% 12월 15일 FOMC 0.5% 인상으로 미국 중앙은행 기준금리가 4.5%로 됐다. 우리가 지금과 같이 미국 기준금리를 모든 뉴스의 첫1면에 항상 이렇게 봐 왔던가?? 사실 내가 10대 20대때는 미국의 기준금리라는 단어조차 낯설었다. 그런데 지금은 세계화가 아니라 그냥 우리나라의 일과 같이 하나로 엮여 있는 느낌이다. 뭐 이건 내 요즘 느낌이다.. 거의 종속된 느낌. 사실이긴 하지만 여튼 KB증권 자료를 보면 올해는 12월 4.5%로 마감했고 내년의 기준금리 예상 Range가 4.9~ 5.6%이다. 즉, 내년 2023년말까지 지금보다1%이상 상승 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2024년도 3.1~5.6%로 하방은 하락이지만 상방은 최고점에서 머물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실 우리는 내년 상반기를 지.. 2022. 1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