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준금리3

해외주식 양도차익 100만원초과시 연말 정산 인적공제 불가 + 미국 PCE 상승률 5.0% 15개월만에 최소폭 상승 연말정산 인적공제 시 해외주식 양도차익 연말정산 부양가족 조건에서 인적공제 적용이 가능하려면 소득 조건이 있습니다. 이때 우리가 간과하는 부분이 국내 상품에는 적용되지 않지만 해외 주식에는 양도차익 소득이 100만 원 초과 시 인적공제에 포함시킬 수가 없습니다. 연말 정산에서 인적공제가 가능한 소득 조건을 깔끔하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 근로소득만 500만 원 : 가능 근로소득 500만 원 + 해외주식 양도차익 10만 원만 있어도 : 불가능 < 해외주식양도차익 100만 원: 가능 해외주식 양도차익이 100만 원에서 1원만 넘어가도: 불가능 국내주식 양도차익 1억 원: 가능 < 국내에 상장된 해외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로 2000만 원 수익: 가능 국내에 상장된 해외주식형 ETF로 2000만 원에서 .. 2023. 1. 30.
한국 1월 금융통화위원회 기준 금리 예상 + 일시적 2주택 처분기한 2년에서 3년으로 연장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과연 1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를 올릴 것인지 동결가 관심사이입니다. 씨티는 한국은행이 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따라서 기준금리는 3.25%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고 언제까지 유지할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예상을 내놓은 이유는 금리 동결로 주택시장의 연착륙을 원하는 정부와 정책의 방향성을 같게 하기 위해서라고 했습니다. 현재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그동안 강력하게 규제해 왔던 부동산 정책을 완화 스탠스로 발표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주택담보비율(LTV) 규제를 완화하고 PF대출 보증을 강화하는 방안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양도소득세, 취득세, 종합부동산세에 대하여 일시적 2 주택 종전주택의 처분기한을 2년에서 3년으로 .. 2023. 1. 12.
12월 15일 FOMC 0.5% 인상으로 기준금리 4.5% 12월 15일 FOMC 0.5% 인상으로 미국 중앙은행 기준금리가 4.5%로 됐다. 우리가 지금과 같이 미국 기준금리를 모든 뉴스의 첫1면에 항상 이렇게 봐 왔던가?? 사실 내가 10대 20대때는 미국의 기준금리라는 단어조차 낯설었다. 그런데 지금은 세계화가 아니라 그냥 우리나라의 일과 같이 하나로 엮여 있는 느낌이다. 뭐 이건 내 요즘 느낌이다.. 거의 종속된 느낌. 사실이긴 하지만 여튼 KB증권 자료를 보면 올해는 12월 4.5%로 마감했고 내년의 기준금리 예상 Range가 4.9~ 5.6%이다. 즉, 내년 2023년말까지 지금보다1%이상 상승 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2024년도 3.1~5.6%로 하방은 하락이지만 상방은 최고점에서 머물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실 우리는 내년 상반기를 지.. 2022. 1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