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고하기

40대, 50대에 불안을 떨치는 방법(feat. 주인공, 명상)

by 띵커 2023. 1. 6.
반응형

요즘 들어 친구들, 지인들과 이야기하면 지치고 힘들다는 사람이 많습니다. 돈을 벌기 위해 사는 것 같다는 친구, 시간이 없어 뭘 하고 싶어도 못 한다는 동료, 뭘 하고 싶질 않고 누워만 있고 싶다는 지인, 내 시간을 내가 원하는 걸 하면서 살고 싶은데 태어났으니 산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과연 우리는 이렇게 살며 나이를 먹어 가는 것일까요??
'열심히 사는데도 늘 불안하고 자꾸 모든 일에 불평이 쌓인다'는 40대, 50대들이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OECD가입 국가 중에 여전히 자살률 1위를 하고 있고 실제로 통계적으로 한국사회 구성원의 48%가 '중증 이상의 불안'을 경험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이 불안을 평온으로 바꿀 수 있을까요?? 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짧아도 나만의 시간을 갖아야 합니다.


우리는 가족이 있다면 가족을 위해 돈을 벌기 위해 직장을 다닌다고 생각합니다. 가족이 없다면 내가 살아가려면 돈을 벌어 집을 사고 차도 사야 된다며 일을 열심히 합니다. 그러는 가운데 정작 자기의 시간이 없는 것입니다. 마치 직장을 다녀 돈을 벌기 위해 삶을 살아가는 것 같이 행동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시간은 우리의 것이며 우리의 인생은 우리가 주인공입니다. 여기에서 다음과 같이 생각하면 매 순간 '선택'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과연 내가 지금 한 선택이 최악이 되었을 때 발생할 최악의 결과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답을 생각할 나의 시간을 갖길 바랍니다. 이 질문을 고려하여 결정한다면 지금 상황에서 결정이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 다른 여러 가지 이유를 대며 나의 시간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을 통제하지 못함으로 인해 불안감이 커지는 것입니다. 나의 삶 '전체'를 통제할 수 없을지라도 나를 위한 '짧은 시간'을 갖음으로써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이 생기기 시작한 것이 변화의 시작입니다. 날 위한 시간이 있다면 내가 내 삶의 주인공으로 살고 있는지 느낄 여유가 생깁니다. 하루 중에 날 위한 시간, 일주일 중 날 위한 시간, 한 달 중에 날 위한 하루 등은 점점 쌓여 내 삶을 내가 주인공으로 살 수 있게 해 줍니다.

2. 감사의 글을 써보세요.


일상에 불만은 마음의 부정적인 감정을 키웁니다. 이 부정적인 감정은 마음의 이끼와 같아서 우리 신체에 마구마구 퍼져서 스트레스를 일으키게 됩니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하는 충동적인 행동들이 더욱 후회를 만들게 되는 것이죠. 결국 일상에 불안이 더 큰 후회와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를 높이는 것입니다. 이런 일상에 불안은 자신이 이미 누리고 있고 갖고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아직 이루지 못한 것과 하지 못하는 것에 집중하는데서 옵니다. 내가 이미 갖고 있는 것에 집중하며 그것을 감사하는 해빙(Having) 노트를 작성해 보길 권합니다. 아주 작은 일이라도 매일 해빙노트를 써보면 감사하고 고마워할 일이 아주 많습니다. 어떻게 보면 감사하지 않을 일이 없습니다. 제가 회사에서 모니터를 보며 일하고 있는데 후배가 말을 겁니다.
'선배는 뭐가 그리 좋아서 그렇게 웃으면서 일해요?'
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눈이 있어서 모니터를 볼 수 있다는 것에 얼마나 감사해요'
어떻게 보면 낯간지러운 말일 수 있지만 그걸 잃었을 때를 상상하면 감사하지 않을 일이 없습니다. 불안한 마음이 커질 때는 내가 이미 누리고 있고 갖고 있는 것에 집중해 보세요. 나에게 가족이 있고 회사에 다닐 수 있고 그럴 건강이 있다는 것에 감사하게 될 것입니다.

3. 명상을 해보길 권합니다.


자신의 내면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 훈련 중에 하나가 명상입니다. 명상을 불교에서는 '마음 챙김'이라는 방법으로 불안에 대한 해답으로 2000년 전부터 강조해 왔습니다. 얼마 전에 도파민 중독의 영향에 대해 생각해 봤었습니다. 신경과학자들은 실제로 이 명상을 통해 '도파민 리모델링'이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삶에서 불필요한 자극을 덜어내고 뇌의 안정을 찾는 활동 즉, 명상으로 인지, 정서, 체형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도파민이 과다할 경우 쾌락에만 집중하는 문제가 되지만 적당한 도파민 조절 능력은 평온과 일상의 성공을 가져오기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옵니다. 나의 내면을 들여다 보고 불안의 원인을 '바라보기'연습을 명상을 통해 해보길 권합니다.

우리는 누구나 행복하고 우리 삶의 주인으로서 살아갈 수 있으며 그럴 권리가 있습니다. 리더십과 성공이 꼭 타인을 이끌어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나 자신의 평온과 성공을 위해 집중하면 그것이 타인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은 틀림없습니다. 우리 삶의 주인공으로 살길 바라며 불안보다는 평온에 집중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띵커올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