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작년 4분기부터 반도체 사이클이 하락으로 돌아서며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기에 2023년 반도체시장도 좋지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대화형 AI 모델 'Chat GPT'의 엄청난 파급 효과로 전 세계 AI 시장뿐만 아니라 IT 업계에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Chat GPT는 단기간에 1억 명 이상의 회원을 유치하는 성과와 유료회원들에게 더욱 트래픽적으로 이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Chat GPT가 미국 기업인 Open AI에서 출시한 것이지만 최대 투자자가 마이크로소프트(MS)인 점과 자사 Bing 검색 플랫폼에 도입하기로 하면서 현재 검색엔진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구글에 비상경영을 선언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미 마이크로소프트는 Open AI와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향후 100억 달러(약 12조 3000억 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Open AI의 Chat GPT 공개 이후 많은 기업과 벤처업체에서 투자와 이 Chat GPT를 활용한 사업을 내놓고 있습니다. 한없이 주가가 내려가던 메타도 작년까지는 데이터센터 투자를 줄인다고 했지만 최근에는 최대 21% 규모로 증설한다고 예상했고 아마존웹서비스도 2040년까지 350억 달러(약 40조 원) 투자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와 관련 있는 반도체 수요처로서만 보면 스마트폰과 PC 시장의 한계에 도달했다는 의견에서 갑자기 Chat GPT로 인해 AI의 폭발적인 존재감으로 인해 고용량. 고대역폭 D램인 HBM 수요가 폭증하고 있습니다. 작년에 메모리감산을 선언한 SK하이닉스도 1월 25일 고대역폭. 고용량 메모리 HBM3은 감산하지 않는다고 발표했습니다. 여기에 삼성전자도 차세대 메모리솔루션 기술로 PIM(Processing in memory)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PIM은 데이터 연산의 일부 기능을 메모리 내부에서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데이터가 CPU와 메모리를 오가며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줄이고 연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미 삼성전자는 AMD와 협력해 'HBM-PIM'을 개발하여 기존 GPU 가속기대비 평균 성능이 2배가 증가하고 에너지 소모는 50% 감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든든한 지원을 바탕으로 Chat GPT가 검색 엔진뿐만 아니라 수많은 영역에서 새로운 사업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데이터센터용 HBM 수요가 폭증하고 있고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증설을 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Chat GPT.
이미 수많은 Chat GPT 관련 영상이 있습니다. 대신 블로그를 써주는 방법, 기존 단순 대화형 AI에서 history를 기반으로 하여 상담을 해주는 사업, 문서작성과 엑셀작업을 해주는 자동화도 대화형으로 완료해 주는 등 관련 실험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므로 Chat GPT는 더욱 똑똑해지고 유료가입자도 늘려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것을 보며 테슬라가 처음에 자율주행 Level 2를 내놓으며 전기차를 시판했을 때 '이게 무슨 자율 주행이냐'로 비난을 많이 받았던 때가 떠오릅니다. 구글 웨이모가 자율주행차에 대해 Level 5로 완벽한 무인 자동차를 만들려고 준비할 때 테슬라는 겁도 없이 바로 자율주챙 차라며 Level 2로 차를 출시했습니다. 그동안 테슬라는 전 세계에서 카메라로 수많은 데이터를 수집해 가며 더욱 정교하게 자율주행차를 완성해 갔고 차의 판매 이익은 아직도 전 세계 어느 전기자동차 업체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내고 있습니다. 덜 완벽한 자율주행차를 내놓고 차를 판매하며 더욱 완벽을 향해 가는 것이죠. 현재는 Chat GPT 3.5 버전이고 4.0은 올해 하반기에 출시 예상되는데 이는 리소스를 더 잘 활용하고 매개변수화 또는 정렬과 같은 부분에서 3.5 버전보다 상당한 개선을 가져올 것이라고 합니다.
앞으로 AI가 가져올 세상의 변화가 어떤 산업적인, 경제적인 영향을 미칠지 기대됩니다. 같이 함께 알아가 보시죠.
감사합니다.
띵커 올림-
'재테크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의 자산을 순자산과 부채로 계산을 해보세요. (0) | 2023.03.16 |
---|---|
2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3.5% 유지 + 1월 FOMC 회의록 공개 (0) | 2023.02.23 |
병점역 GTX-C노선 연장 확정 (0) | 2023.02.03 |
2월 FOMC 결과 기준금리 0.25% 인상 + 메타, 주가 19% 폭등 (0) | 2023.02.02 |
반도체 4분기 실적 발표: 적자 면한 삼성전자 + 1조 7천억원 영업손실 SK하이닉스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