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투자를 안 하는 사람을 보기가 힘듭니다.
회사 생활을 하며 자신의 사업을 하며 부동산투자, 주식투자 등 여러 가지 투자를 함께 하며 살아갑니다. 지금은 경기침체 이야기를 많이 하기에 Fed의 고금리 정책이 멈추려면 필연적으로 경기침체가 와야 합니다. 물론 경기침체가 없이 물가가 잡히면 천상의 시나리오겠지만 말이죠.
고금리 시대에 자산을 계속 보유하는 게 맞는가?
이런 고금리 속에서 주식에서 신용을 쓰거나 부동산에서 담보대출을 한 경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자신이 살고 있는 부동산의 부채가 얼마인지, 이 부채의 이자를 얼마나 내고 있으며 이 부채를 계산하면 내가 매년 얼마씩 마이너스가 되며 이 집에 살고 있는지도 계산해 봐야 합니다. 그동안 영끌로 집을 사도 그 이자를 내고도 충분히 남게 부동산 가격이 올라 무조건 보유하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금리가 올라가면서 내가 낼 양도세를 계산해 보고 몇 년을 더 보유하면서 내는 이자를 계산해서 매매가를 결정해 보세요.
만약 비과세를 받기 위해 지금 이 하락장에서 부동산을 팔아야 하는 분들이라면, 내가 지금 이자로 몇 년을 버티고 내는 양도세를 계산해서 얼마에 파는 것과 지금 급매로 파는 것을 비교해 보시면 판단이 설 겁니다.
투자에는 거래비용, 보유비용, 대출비용, 유지비용이 들어갑니다. 이런 것을 생각해보지 않고 무조건 보유하면 다시 올라갈 거란 기대로 무기한적으로 보유하는 것은 다른 투자의 기회를 날리는 것입니다. 배에 구멍이 났는데 곧 육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버티는 것이죠. 언제 가라앉을지 모르는 배에서 조금만 더 조금만 더 버티면 곧 목표라고 열심히 노를 젓는 것과 같습니다.
오늘 시간을 내서 내가 현재 투자한 물건들의 가성비를 따져보세요.
그저 시간이 가서 이 경제상황이 나아지기만 버티는 것은 투자자에겐 맞지 않는 행동입니다.
오늘도 좋은 생각으로 경제적 자유와 시간적 자유를 향해 뛰어가보시죠.
감사합니다.
띵커올림-
'재테크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3.5% 유지 + 1월 FOMC 회의록 공개 (0) | 2023.02.23 |
---|---|
2023년 반도체산업에 긍정적인 효과가(feat. Chat GPT 촉발) (0) | 2023.02.14 |
병점역 GTX-C노선 연장 확정 (0) | 2023.02.03 |
2월 FOMC 결과 기준금리 0.25% 인상 + 메타, 주가 19% 폭등 (0) | 2023.02.02 |
반도체 4분기 실적 발표: 적자 면한 삼성전자 + 1조 7천억원 영업손실 SK하이닉스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