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고하기

자신의 단점을 해소 하려하지말고 장점을 더욱 키우자

by 띵커 2023. 3. 14.
반응형

어떤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설문이나 검토를 해보면 점수가 낮게 나오는 부분이 있다.

그래서 그 부분을 어떻게 하면 보강을 하고 점수를 올릴지 고민한다.

그런데 요즘은 프로세스나 그 조직이 못하는 부분을 어떻게 하면 강화할 수 있을지 고민 하기보다는 지금 현재 경쟁사보다 잘하고 있는 장점 부분을 더욱 키우려고 한다.

이런 전략이 개인에게도 맞아떨어진다.

내가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중에 다른 3과목 보다 수학을 특출 나게 잘하면 수학 올림피아드에 나가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낸다면 그 점수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하지만 내가 수학만 못한다고 해서 그 수학을 makeup 하기 위해 쏟는 노력과 시간은 다른 잘하는 과목을 더욱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약점은 강점으로 전환하라.


예를 들어 내가 의사인데 미국에 가서 동양인으로 백인들이 믿고 맡길 수 있는 병원을 운영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동양인이기 때문에 갖는 약점을 내가 제공 할 수있는 서비스로 전환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배울 수 있는 한의학을 접목한 병원을 미국에서 운영한다면 다른 병원에서 제공할 수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일한 병원일 될 것이다. 이런 약점을 이용하여 강점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는 상당히 많다.

지인이신 심리상담선생님의 예가 떠오른다. 자신이 겪었던 너무나 힘들었던 공황증상을 기록하고 책을 내신 선생님이셨다. 그분은 공황증상의 영향과 그 환자가 겪고있는 힘듦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에 환자들을 상담 시 공감이 충분히 가능했다. 비좁은 곳에 가면 쉽게 발현된다거나, 사람이 많은 곳은 피하고 공황이 오면 어떤 마음 상태로 대처하라는 말을 자신의 약점인 공황환자였던 것을 이용하여 설명이 가능했던 것이다. 약점을 나의 강점으로 전환한 대표적인 사례가 아닌가 싶다.

나도 내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남들보다 장점을 갖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고민을 해본다.

나의 가장 큰 장점은 끈기.
꾸준히 지속할 힘이 있다는 것이다.
무엇을 시작하면 하게 하는 방법과 꾸준히 하여 결과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 안다.

그래서 작심삼일이 일상인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면 끈기를 갖고 살아갈 수 있을지 방법이나 서비스를 제공해 주면 어떨까 생각한다.

오늘은 내가 쉽게 능력을 올 릴 수 없는 단점에 집중하기보다는 장점을 더욱 크게 키울 수 있는 방법을 찾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감사합니다.
띵커올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