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일 코스피, 코스닥이 상승세를 유지하며 시장에 유동자금이 많음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3일 전에 매수했던 '삼아알미늄'을 시초가에 1% 수익을 먹고 나오며 20% 상승마감을 보니 주린이로서 너무 시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또한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완전 신고가에 들어가서 아주 크게 물리고 질질질 내려오는 모습에 손절을 했더니 다음날 바로 슈팅을 해주더군요. 이런 자신의 모습을 보며 무엇이 문제일까.
왜 내가 팔면 시세가 상승할까?
너무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게 욕심 때문이구나. 싶었습니다.
그래서 코스톨라니의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를 다시 읽었습니다.
주가의 흐름은 무엇보다도 주식을 내놓은 매도자가 주식을 사들이는 매수자보다 더 급박함을 느끼는가 안 느끼는가에 달려 있다.
내가 왜 주가가 상승하면 '더 사놓을걸', 하락하면 '빨리 물 타야 돼'라고 생각하며 너무 승급하게 물을 타곤 했습니다.
주식을 가진 사람이 심리적 혹은 물질적 압박감으로 주식을 내놓았는데 돈을 가진 사람은 그와 반대로 살 마음은 있으나 꼭 사야 한다는 압박감에 놓여 있지 않으면 그 주가는 떨어진다.
하지만 돈을 가진 사람이 급하게 주식을 찾고 주식을 가진 사람은 그다지 주식을 팔아야 하는 심리적, 물질적 압박감에 놓여 있지 않으면 주가는 상승한다.
코스톨라니는 이 가르침을 잊어 본 적이 없다고 합니다.
마음에 되새기고자 다시금 써봅니다.
10가지 권고 사항
1. 매입 시기라고 생각되면 어느 업종의 주식을 매입할 것인지를 결정하라.
2. 압박감에 시달리지 않도록 충분한 돈을 가지고 행동하라.
3. 모든 일이 생각과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라. 그리고 반드시 인내하라.
4. 확신이 있으면, 강하고 고집스럽게 밀어붙여라.
5. 유연하게 행동하고, 자신의 생각이 잘못될 수 있음을 인정하라.
6. 완전히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면 즉시 팔아라.
7. 때때로 자신이 보유한 종목의 리스트를 보고 지금이라도 역시 샀을 것인지 검토하라.
8. 대단한 가능성을 예견할 수 있을 경우에만 사라.
9. 계속해서 예측할 수 없는 위험 역시 항상 염두에 두라.
10. 자신의 주장이 옳더라도 겸손하라.
10가지 금기 사항
1. 추천 종목을 따르지 말며, 비밀스러운 소문에 귀 기울이지 마라.
2. 파는 사람이 왜 파는지, 혹은 사는 사람이 왜 사는지를 스스로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마라. 또한 다른 사람들이 자기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해서 그들의 말에 귀 기울이지 마라.
3. 손실을 다시 회복하려고 하지 마라.
4. 지난 시세에 연연하지 마라.
5. 주식을 사놓은 뒤 언젠가 주가가 오를 것이라는 희망 속에 그 주식을 잊고 지내지 마라.
6. 시세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마라.
7. 어디서 수익 혹은 손실이 있었는지 계속해서 계산하지 마라.
8. 단기 수익을 얻기 위해 팔지 마라.
9. 정치적 성향, 즉 지지나 반대에 의해 심리적 영향을 받지 마라.
10. 이익을 보았다고 해서 교만해지지 마라.
주린이로서 10가지 금기 사항 중 대부분 내가 하고 있구나 생각이 듭니다.
3번. 자꾸 손절한 것을 복구하려고 이상한 종목을 사고,
4번. 지난 가격이 여기였는데 어제 더 물 타으면 지금 익절인데 생각하고
5번. 내가 사놓고 이건 올라야만 해라고 믿고 있고
6번. 하루하루 올라갔다 내려갔다가 기분이 좋고 나쁘고
7번. 익절과 손절에 그 금액을 계속 계산하는
나를 보며 반성합니다.
이렇게 주식은 배우고 성장하는 것 같습니다.
초심으로 돌아가 조금 Time span을 길게 보고 심호흡하려 합니다.
띵커올림
반응형
'사고하기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행이 없는 것이 행복이라고 느껴야 하나요?? (0) | 2023.04.02 |
---|---|
왜 우리는 비관주의의 늪에 빠지는가 (feat. 돈의 심리학) (0) | 2023.03.01 |
[감정 시리즈] 사회 생활에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요 (0) | 2023.02.21 |
자녀 교육에 대해 다들 고민이 많으시네요 (0) | 2023.02.20 |
[부부스토리 #1] 혼자가 아닌 부부가 되서 타인과 합의점에 이르는 스킬이 늘었습니다. (0) | 2023.02.18 |
댓글